광고 매체 이해 (검색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등)
광고 매체 이해 (검색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등)
- 주요 광고 매체
- 직무 과제 팁
- 매일 보는 핵심 지표 정리 및 예시
■ 광고 매체 이해
디스플레이 광고
- 이미지, 동영상 광고
요즘은 숏폼 콘텐츠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Video Ads = VA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함.
애드 네트워크
자체 플랫폼이 없는 광고
예) 인터넷 신문기사 배너 광고
신규 매체
플랫폼에 노출되는 광고
■ 직무 과제 전형 팁
1. 준비
내가 지원하는 회사의 퍼포먼스 마케팅이 어떤 소재로 어떤 크리에이티브로 진행되는지 보는 법
메타 광고 라이브러리 진입 -> 기업명 / 서비스의 이름 검색
광고 라이브러리
ko-kr.facebook.com
구글 광고 투명성 센터 진입 -> 기업명 검색 (날짜 지정 가능)
https://adstransparency.google.com/?region=KR
adstransparency.google.com
2. 과제 하는 법
■ 지표 정리
도달 : Reach 광고를 본 고유 사용자 수
노출 : Impression 광고가 사용자에게 보여진 총 횟수
빈도 : Frequency 특정 사용자당 광고가 노출된 평균 횟수
CPC : Cost Per Click 광고 1회 클릭당 비용
CTR : Click Through Rate 광고 노출 대비 클릭률
CPM : Cost Per Mille 1,000회 노출당 발생하는 비용
* 동영상 광고가 CPM이 더 높음
CPA : Cost Per Action 특정 행동 당 비용
CPI : Cost Per Install 설치 당 비용
CVR : Conversion Rate 유입 고객 대비 전환율
ROAS : Return On Ads Spend 광고 비용 대비 수익률
WoW : Week Over Week 전주 대비 이번주 성과 비교
YoY : Year Over Year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현재 기간 성과 비교
■ 지표 예시
💬
지금까지 프로젝트나 실습을 하면서 CTR, CPC, 노출, 도달과 같은 지표는 봤지만, 사실 다른 지표는 제대로 신경쓴 적은 없다.
구매전환을 목표로 광고를 집행한 적이 없어서 특정 지표에는 공부만 했을 뿐 프로젝트 진행 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래서 그런지 오늘 강의를 들으면서 빈도와 관련된 의사결정에는 쉽게 답을 내렸지만, 비디오 광고가 CPM이 높다는 건 신경쓰지 않던 부분이라 CPM 분석에 대한 답은 할 수 없었다.
현재 진행중인 비건 뷰티 기업 광고의 성과를 보면 gif가 jpg보다 CPC도 높고 CPM도 높게 나와서 광고 소재가 안 좋은가, 저효율 광고인가 생각을 했는데, 메타가 gif를 비디오로 인식할 가능성도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물론 이번 소재의 경우 CTR도 낮아서 소재의 문제로 판단하여 OFF하긴 했지만, 만약 CTR도 높다면 움직임이 있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 프로젝트 전에 수강했다면, 그냥 보고 넘어갔을 내용인데 프로젝트 후에 보니까 더 생각하면서 볼 수 있게 되었다.
ZB 09. 최신 광고 매체 01. 02~03
이 글은 제로베이스 퍼포먼스 마케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