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 디지털 마케팅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
롱테일 콘텐츠와 소셜 미디어의 등장 배경
▶️ 롱테일 콘텐츠
과거에는 잡지나 신문을 오래 봤기 때문에 독점적인 몇 개의 미디어에 쏠리는 현상이 있었다.
이를 머리가 높다라고 표현한다.
지금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채널을 동시다발적으로 소비하고, 채널의 종류와 유형도 많아졌다.
이를 꼬리가 길다고 한다.
▶️ 마케터의 입장에서 롱테일은 어떨까?
다양한 소비자의 호응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것은 어렵다.
많은 채널을 통해 소비자를 만나는 것은 도전적이다.
▶️ 소셜 미디어 콘텐츠
다양한 매체들에서 다양한 콘텐츠의 폭발적인 성장
흥미롭고 유용한 콘텐츠를 만들어 소비자의 반응을 얻어내는 것이 목표이다.
소셜 미디어의 특징
▶️ 전통 미디어
중앙에서 어떠한 콘텐츠를 만들고, 미디어를 통해 송출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형태
▶️ 소셜 미디어
각종 허브에서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언드 미디어를 통해 유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형태
소셜 미디어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
가장 중요한 매커니즘은 바로 창작자의 수익 구조이다.
과거에 창작자가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도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라는 거대한 플랫폼을 통해 이 사람들이 콘텐츠를 만들고, 수용자에게 다가간다.
또한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었을 경우에는 그걸 통해 수익까지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광고, 협찬 등을 통해 돈을 벌면 창작자는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게 되고, 수용자는 조금 더 양질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긍정적인 사이클을 만드는 점에서 소셜 미디어의 파괴력이 상당하다.
프로슈머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프로슈머 (Prosumer)
프로듀서 + 컨슈머
소셜 미디어를 통해 그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안
제품의 기획, 생산 과정, 사후관리 등에 적극 참여
소셜 미디어 콘텐츠가 소비자에게 반응을 얻기 위해서는 진정성이 상당히 중요하다.
예) 스마트락
내 앞에 500명이 앉아있건, 5000명이 앉아있건 마음이 통하는 건 일대일의 관계다.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One Source Multi Use(OSMU) 보다 진화된 개념을 의미한다.
OSMU : 하나의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다방면으로 활용하는 것
콘텐츠의 유통을 통해 새로운 서사 구조 및 세계관 확립
예) 대장금 드라마 -> 웹툰 -> 어린이 애니메이션으로 발전한 것
단순히 PPL을 넘어서 만화를 만들고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또한 티비 광고를 넘어서 모바일 게임까지 출시한다.
K-MOOC 디지털 마케팅과 소셜 미디어 브랜드 콘텐츠 전략 - 유승철(이화여대)
2강 디지털 마케팅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
'마케팅 > K-MOOC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미디어 4강 - 욕구와 욕망 그리고 마케팅 기획 (0) | 2025.02.03 |
---|---|
디지털 마케팅 3강 - 디지털 마케팅 산업의 현황과 당면 과제 (0) | 2025.02.03 |
디지털 마케팅 1강 - 디지털 마케팅 (0) | 2025.02.02 |
마케팅 용어 (0) | 2025.01.31 |
퍼포먼스 마케팅이란 (4)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