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협업 프로젝트] 4. 프로젝트 종료 그리고 회고
1.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 목적
비전공, 무경력 취업 준비생 타겟의 랜딩페이지 유입 증대
■ KPI 설정
CTR 1% 이상 / CPC $0.7 이하
■ 타겟
퍼포먼스 마케터로 취업을 희망하는 20-30대 비전공자, 무경력 취업 준비생
■ 집행 채널
Meta 광고 (단일 이미지 소재 중심)
■ 광고 집행 기간
1차 : 2025.04.05 11:00 - 2025.04.06 10:59(24시간)
2차 : 2025.04.06 11:00 - 2025.04.10 10:59(96시간)
3차 : 2025.04.10 11:00 - 2025.04.13 10:59(72시간)
2. 테스트 전략 및 실험 결과

3. 프로젝트 결과
■ KPI 달성 현황
CTR : 47% 달성 (목표 : 1%)
CPC : 100%달성 (목표 : ≤ $0.70)
■ 효율 소재
• set01_ad01
CTR 0.34%, CPC $0.35 → 노출이 늘어날수록 CTR은 하락했지만, 4월7일에는 CTR 1.09%, CPC $0.26으로 KPI 달성한 경험이 있음.
• set02_ad02
CTR 0.47%, CPC $0.31 → 이미지 개선후 메인 문구에 집중하면서 저효율에서 고효율로 반등. 단순히 성과가 좋아졌을뿐 아니라, 집행 내내 가장 우수한 성과 유지.
4. 프로젝트 회고
2주간 진행된 퍼포먼스 마케팅 스쿨 1차 프로젝트(스노우볼 협업 프로젝트)가 마무리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팀 단위로 실전 광고를 집행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획 → 분석 → 개선까지 전 과정을 경험해보는 실습형 프로젝트였다.
전체 프로젝트 흐름
- 4.1 ~ 4.3 : 기획안 준비
팀장이 되었고, 서류 작성 및 제출은 팀장 담당이었다.
매일 아침 회의를 통해 기획안을 다듬었고, 제출 직전까지 슬라이드 구성 및 서류를 정리했다.
기획안을 제출했으나 기존 마케팅과의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이 피드백을 바탕으로 광고 소재 및 문구 전략을 조정했다.
- 4.5 : 1차 광고 집행
부팀장의 Meta Ads 계정 등록 문제로 직접 광고 집행을 맡게 되었고, 1차 광고는 24시간 테스트로 종료되었다.
결과적으로 큰 성과를 기대하긴 어려웠지만, 실제 광고 셋업과 리포트 작성 과정을 경험한 점이 의미 있었다.
그리고 나름 전체 광고 집행 일정 중에 가장 성과가 좋았다.
- 4.6 ~ 4.10 : 2차 광고 집행 및 분석
2차부터는 실질적인 분석과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일일 성과 분석을 바탕으로 광고 문구, 이미지, 메시지 전략을 실험했다.
특히 1차에서 성과가 좋았던 소재를 바로 베리에이션해 테스트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더 빠르게 실험-검증 사이클을 반복했다면 더 큰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 4.10 ~ 4.13 : 3차 광고 집행 및 최종 보고서 작성
광고 소재 2개가 유의미한 성과를 보였고, 부진한 소재는 실시간으로 비활성화 조치했다.
최종 보고서는 1~3차 전 과정을 정리해 구성했고, 분석 내용은 직접 가공 및 시각화하여 전달력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프로젝트에서 얻은 인사이트
- 가설과 지표의 일치 중요성
예) "CTR이 높아질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결과 지표로는 도달 수만 제시한 경우처럼 가설-측정 지표 간의 정합성이 떨어지면, 분석 설득력이 약해질 수 있다.
- 효율 기반 판단의 시각화 필요성
비효율적인 광고를 비활성화한 근거가 수치와 시각적으로 제시되었다면 의사결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
- 실험은 과감하게
광고 실험은 빠르게 돌리고, 실패를 통해 학습하는 게 중요하다. 보수적인 액션을 취하면 예산과 시간만 날린다.
아쉬웠던 점
- 실험 설계에 시간이 걸려 고효율 소재에 집중한 후속 테스트가 부족했다.
- 광고 소재 비활성화 시 명확한 기준과 근거를 보고서에 담지 못했다.
- 최종 보고서에서는 데이터 수치 오류나 표현 정리가 부족했던 점이 있었다. (제출 후 발견…)
다음 프로젝트를 위한 개선 방향
가설-지표-액션의 흐름을 더 명확히 설계하고,
성과 좋은 소재는 즉시 확장 테스트,
분석 보고서는 읽는 사람 관점에서 전달력을 높이기.
마무리
퍼포먼스 마케팅은 단순히 광고를 띄우는 게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사고와 끊임없는 개선을 요구하는 분야임을 다시 한 번 체감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실전 감각을 익혔고,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더욱 빠르고 정교하게 실험을 설계하고 실행해보고자 한다.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PM, 콘텐츠 마케팅 수강생들과 함께 팀을 이뤄 진행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니 더욱 좋은 성과를 얻고,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겠다.
해당 프로젝트는 제로베이스 부트캠프를 통해 진행되는 기업 협업 프로젝트 입니다.
'마케팅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협업 프로젝트] 2. Meta 광고 등록하기 (2) | 2025.05.23 |
---|---|
[2차 협업 프로젝트] 1. 광고 전략 기획안 작성 (3) | 2025.05.22 |
[1차 협업 프로젝트] 3. 광고 성과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 그리고 개선하기(3) (0) | 2025.04.16 |
[1차 협업 프로젝트] 3. 광고 성과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 그리고 개선하기(2) (1) | 2025.04.16 |
[1차 협업 프로젝트] 3. 광고 성과 분석과 인사이트 도출 그리고 개선하기(1)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