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및 화면 리포트
[페이지 및 화면] 리포트는 주로 [페이지 경로 및 화면 클래스]라는 측정 기준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페이지 경로'는 웹사이트의 서브 도메인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https://mkt-wise.tistory.com/1'은 URL에서 메인 도메인이므로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슬래시 [/]로만 표현되고, '/1'은 서브 도메인이므로, 이것이 바로 페이지 경로 측정 기준에서 보이는 내용이다.
'화면 클래스'는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가 URL로 구분되는 것처럼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각 화면을 '화면 클래스'라는 이름으로 구분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의 활동을 파악할 수 있다.
[페이지 및 화면] 리포트에는 '페이지 경로 및 화면 클래스' 외에도 다양한 측정 기준이 포함되어 있다.
이중에서 흥미로운 측정 기준인 '페이지 제목 및 화면 클래스'에 대해 알아보겠다.
현재 데모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페이지 제목 및 화면 클래스' 측정 기준을 클릭하면 웹페이지의 제목 값에 한글 제목 값이 나타난다.
이 페이지의 제목은 HTML 코드에서 <title> 태그 안에 있는 내용을 의미한다.
만일 웹사이트 모든 페이지의 <title> 태그 값이 동일하면 어떻게 될까?
그렇다면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한 줄의 데이터만 나타날 것이다.
이럴 경우 각각의 페이지별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페이지 경로]를 통해 URL을 참조해야 한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는 각 페이지 <title> 태그 값을 구별되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페이지 리포트 분석 시 주요 포인트
페이지 단위 리포트의 핵심 지표는 '조회수'이다.
하나의 사용자가 다수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페이지마다 사용자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페이지 별 이벤트나 전환의 수치만으로는 충분한 인사이트를 얻기 어렵다.
예를 들어, 쇼핑몰을 운영하게 되면 [Purchase] 이벤트는 대체로 결제 완료 페이지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특정 페이지에 대한 전환율만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페이지 리포트에서 중요한 건 뭘까? 바로 [비교 기능]을 활용하여 페이지 조회수의 변화 추이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떤 페이지의 조회수가 빠르게 증가하거나 감소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매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어떤 페이지에 사용자들에게 가장 많이 방문되는지 확인하여 웹사이트의 유저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GA4의 방문 페이지 리포트의 특징
방문 페이지 리포트는 GA4의 중요한 분석 도구이다.
방문 페이지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처음 접속할 때 열람하는 페이지의 URL을 지칭한다.
사용자는 한 번의 방문 동안 다양한 페이지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세션 내에서의 방문페이지는 오직 하나이다.
이로 인해 방문 페이지와 세션수 측정 항목이 함께 표시된다.
GA4 방문 페이지로 인한 인사이트
이 리포트의 핵심은 "어느 페이지로 고객을 유입시키면 구매로의 전환율이 가장 높을까?"에 대한 답을 찾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제품이 소개되는 [카테고리 페이지]와 하나의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담긴 [상세 페이지] 중 어느 페이지를 통해 광고를 통한 고객 유입을 진행하면 좋을지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때 방문 페이지 리포트를 활용하면 구매로의 전환이 높은 페이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브런치 - mobiinside 마케팅 포스팅 참고
'마케팅 > 매체,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9 - 수익창출 리포트 (0) | 2025.02.01 |
---|---|
GA4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8 - 콘텐츠 그룹핑 (0) | 2025.02.01 |
GA4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6 - 참여 리포트 (0) | 2025.02.01 |
GA4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5 - 사용자 획득/트래픽 획득 (1) | 2025.02.01 |
GA4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4 - 획득 리포트/채널 리포트 (4) | 2025.02.01 |